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

(32)
연구 및 인력개발비 세액공제(연구인력공제, 공제비율, 인정비용 등) 안녕하세요 ​ 피하고 싶지만 피할 수 없는 것이 있다면, 바로 세금일 것입니다. 이는 개인사업자 및 법인사업자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. ​ 이에 많은 사업자분들께서는 세금공제나 감면에 대해 관심이 많으신데요. 그 중에서도 절세방법으로 가장 많이 활용하시는 연구/인력 개발비 세액공제(#연구인력공제)를 알아보겠습니다. ​ ​ ​ ​ 연구 및 인력 개발비 세액공제는 기업에서 지출한 연구개발비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용의 일정금액을 소득세/법인세에서 공제하는 제도입니다. ​ ​ ​ ​ ​ ​ ​ ​ 연구인력비로 공제받을 수 있는 대통령으로 정하는 비용에는 연구소/전담부서의 인건비, 연구용 견본품, 원재료 비, 연구/시험용 시설비용 등과 연구개빌용역 위탁비, 직무발명보상비용, 연구소/전담부서 직원의 위탁훈련비, ..
신성장,원천기술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(연구인력비 세액공제) 안녕하세요 많은 기업에서 연구소 및 연구전담부서를 통해 지출한 연구인력비의 세액공제를 받고 계실 것입니다. (만약 연구소/전담부서 설립를 희망하지만, 아직 설립하지 않은 기업은 글 하단의 문의하기를 통해 상담남겨주세요) ​ ​ 연구인력비의 세액공제의 경우 신성장원천기술/국가전략기술/일반 연구인력개발비로 나누어서 공제를 진행합니다. ​ ​ 연구인력개빌비의 세액공제액 ​ ​ 그리고 위 표의 내용과 같이 구분에 따라 연구인력개발비이 세액공제액에 차이가 있습니다. ​ ​ 이에 기업에서는 지출한 연구개발비가 어디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하실 필요가 있으며, 법인세/종소세의 세액 공제를 신청 시 각각 구분하여 신청해야 합니다. (세부기준은 첨부파일로 올려드립니다) ​ ​ 여기에 하나더, 신성장,원천기술 연구개발비 및 국..
간이과세자 vs 일반과세자(간이과세자특징, 간이과세자포기 등) 안녕하세요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는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가 정확히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는 알지 못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것니다. ​ 그래서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차이 및 장단점 등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. ​ 우선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가 무엇인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. ​ 간이과세의 경우 소규모 영세사업자들을 위한 제도이므로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를 구분하는 주요 기준은 사업규모(매출액)입니다. ​ 일반과세자/간이과세자 구분 기준 ▶ 일반과세자 : 공급대가(부가세가 포함된 물건이나 서비스를 제공한 대가) 합계가 연 8천만원 이상(사업장이 복수일 경우 합산하여 판단) / (부동산 임대업 및 과세유흥장소의 경우 공급대가 합계가 연 4800만원 이상)인 사업자를..
사업자등록번호 생성(부여)규칙 정리 안녕하세요 ​ 한번쯤은 사업자등록번호를 보셨을 텐테요 해당 사업자등록번호가 어떻게 부여되는지 알고 계신가요?? ​ 이번에는 사업자등록번호의 부여(생성)규칙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. ​ 사업자등록번호는 "XXX-XX-XXXXX"의 형태로 총 10자리 숫자이며, 각 숫가가 의미하는 내용은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. ​ ​ 즉, 사업자등록번호는 일렬번호코드, 개인법인구분코드, 일렬번호코드, 검증코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​ ​ ​ 각 코드의 부여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. ​ 첫 3자리의 경우, 101~999번까지 숫자를 순차적으로 부여 중간의 2자리의 경우, 법인과 개인을 구분하여 코드부여 마지막 4자리의 경우, 0001~9999까지 등록일자 및 지정일자 순으로 부여 맨 마지막자리의 경우, 검증코드로 부여됩니다..
사업자등록번호 검증방법 안녕하세요 이전 글에서 사업자등록번호의 생성(부여)규칙에 대해서 확인했습니다. ​ 그렇다면, 사업자등록번호의 맨 마지막 숫자인 검증코드로 특정 사업자등록번호를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. ​ 검증방법은 크게 4가지 절차로 이루어 집니다. 사업자등록번호 검증방법 1. 검증코드를 제외한 나머지 숫자에 인증키를 곱한뒤 각 숫자를 더함 사업자번호에서 맨 마지막 숫자인 검증코드를 제외한 9개 숫자에 아래의 인증키를 순차적으로 곱하고 각 계산된 값을 더합니다. - > 인증키 : 1, 3, 7, 1, 3, 7, 1, 3, 5 ​ 2. 검증코드 바로 앞의 숫자에 5를 곱하고 10으로 나눔 검증코드 바로 앞의 숫자에 5를 곱하고 10으로 나눔니다.(소숫점은 버림니다) ​ 3. 1번의 값과 2번의 값을 더한뒤 해당 ..
기업의 표준산업분류코드 확인하기(표 엑셀다운) 안녕하세요 기업의 정보를 확인하다보면 산업분류코드라는 것을 보셨을 겁니다. ​ 그렇다면, 해당 산업분류코드는 무엇이며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모르고 계신분들이 많은 것 같아 이를 설명드리고자 합니다. ​ ​ ​ ​ ​ "표준산업분류코드"란 국가 통계자료 작성을 위해 산업을 일정 기준에 따라 분류한 코드이며, 해당코드는 "알파벳 + 5자리 숫자"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​ ​ 표준산업분류코드는 대분류 - 중분류 - 소분류 - 세분류 - 세세분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. ​ ​ 각 항목에 따른 분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대분류는 알파벳(A~U)으로 구성되며, 총 21개 항목으로 구분됩니다. 중분류는 두자리 숫자(01~99)로 구성되며, 총 77개 항목으로 구분됩니다. 소분류는 중분류 숫자에 1개 숫자를 더해(011~9..
법인등록번호 부여규칙(법인등록번호의 구성체계) 안녕하세요 ​ 법인을 운영하신다면, 사업자등록번호외에 법인등록번호가 부여됩니다. 해당 번호에도 규칙이 있다는 것을 알고계셨나요?? ​ 지금부터 법인등록번호의 부여규칙 및 구성체계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. ​ 법인등록번호 구성체계 법인등록번호는 XXXXXX-XXXXXXX의 13자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​ 각 자리 중 첫 4자리는 등기를 진행한 관서의 분류번호이며, ​5,6번째 자리는 법인종류를 나타내는 분류번호입니다. 그리고 7~12번째 자리는 일련번호이며, 마지막 13번째 자리는 검증코드입니다. ​ ​ 법인등록번호 구성체계 ​ 각 구성체계별 상세 설명 1. 등기관서별 분류번호 서울중앙지방법원 등기국 1101, 서울중앙지방법원 중부등기소 1103 등 법인등기를 진행한 등기관서의 분류번호가 부여됩니다. 상..
간이과세자, 일반과세자, 면세사업자 등 사업자유형 분류방법 안녕하세요 ​ 국세청에서는 사업형태 / 과세형태/ 사업규모에 따라 간이과세자, 일반과세자, 면세사업자 등으로 사업자를 분류하고 있습니다. ​ 사업자유형 ​ 사업형태에 따라서는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로 과세형태에 따라서는 과세사업자와 면세사업자로 사업규모에 따라서는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로 구분합니다. ​ ​ 그러나 법인의 경우에는 간이과세자가 될 수 없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도식화 할 수 있습니다. ​ 사업자 유형 ​ 그럼 지금부터 해당 사업자 유형에 대해 전체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. 사업형태에 따른 분류 ▶ 법인사업자 : 일정한 절차를 거처(법인설립등기 등) 설립한 사업자(법인격 취득)로 법인세 납세의무가 있는 사업자를 말합니다. ​ ▶ 개인사업자 : 법인사업자와 달리 법인설립등기 등의 절차를 거치지 ..
내기업 및 관심기업 회사명으로 사업자등록번호 찾기(조회) ​ 사업을 운영 중에 혹은 기타 다른 이유로 내기업 및 관심기업의 사업자번호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. 그동안 이럴때에는 어떻게 해결하셨나요?? ​ 이제 더이상 해당 질문에 고민하지 마세요 지금부터 그 해결방법을 소개합니다. ​ ​ 내 기업 사업자번호 내기업의 사업자번호의 경우 홈택스에서 바로 확인이가능합니다. ​ 1. 홈택스에서 확인 홈택스 -> 로그인 -> 민원증명 -> 민원증명발급 현재 운영중인 사업자의 경우 사업자등록증명에서 휴업이나 폐업중인 사업자인 경우 휴업사실증명 및 폐업사실증명을 클릭해서 확인하시면 됩니다. ​ ​ https://www.hometax.go.kr/ 거래처 및 관심기업 사업자번호 내기업이 아닌 거래처 관심기업의 사업자번호가 필요하신 경우 아래 방법 중 편하신 방법을 사용하시면 됩..
상호(회사명)로 사업자등록번호, 대표자, 휴폐업정보 조회 사업을 운영하다보면 거래하는 기업이 정상적인 기업인지, 아님 관심기업의 기업정보가 궁금하실 때가 있으실 텐데요. 이럴때 그동안 어떻게 하셨나요?? ​ 대부분의 경우는 아래 방법으로 확인하셨을 겁니다. 1.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 / 2. 홈택스 / 3. 공정거래위원회 ​ 그러나 각 방법에는 몇가지 문제가 있는데요 ​ 첫번째로 금융감독원 (DART) 경우 외감기업이 아닌 기업의 정보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. ​ 두번째로 홈택스의 경우 기업의 사업자등록번호를 알아야 정확한 조회가 가능합니다. ​ 마지막으로 공정거래위원회의 경우 조회하는 기업이 통신판매업에 등록이 되어있지 않으면, 조회가 불가능합니다. ​ ​ ​ 그렇기에 거래하는 기업 및 관심기업에 대해 정보를 알고 싶어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밖..